엄유나 감독의 영화 말모이는 2019년 개봉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한국의 문화 정체성을 지키고 우리의 언어를 지키려고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일제의 억압에 저항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조선어 사전 편찬에 나선 많은 평범한 조선인들이 등장합니다. 영화 말모이는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민족의 저력과 자부심을 드러냅니다. 이 영화를 추천하는 이유를 이 글에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언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
영화 말모이는 일제에 저항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한글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1940년대에 일본 정부는 한국 문화를 말살시키기 위해 한국어 사용을 금지하고 일본어를 공식적인 의사소통에 사용할 것을 강제했습니다. 이 영화에는 글을 전혀 몰랐던 판수(유해진)가 등장합니다. 그는 아들의 학비를 벌기 위해 정환(윤계상)의 가방을 훔치다가 붙잡힙니다. 그런 그가 정환이 운영하는 조선어학회에 취직을 하게 되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정환은 판수가 일을 하기 위해서는 글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판수는 일을 하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지만 점점 한국어의 소중함을 알아갑니다. 판수의 변화를 통해 관객들은 언어가 개인과 국가의 정체성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모국어를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말모이는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의 매개체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언어는 민족의 정신과 기억을 담당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평범해 보이는 사전 편찬 작업은 한국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과 같습니다. 일제의 추적과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지키려는 인물들의 노력이 감동적으로 그려지는 영화입니다.
용기 있는 인물들
이 영화의 강점 중 하나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면모를 상징하는 잘 만들어진 캐릭터입니다. 처음에는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정치에 관심이 전혀 없던 판수가 언어를 수호하기 위해 온몸 바쳐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관객들은 크게 감동하게 됩니다. 조선 어학회의 수장인 정환은 엘리트 학자입니다. 그들은 접점이 거의 없으나 한글을 향한 사랑으로 똘똘 뭉칩니다. 이러한 등장인물들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다양한 조선인들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서로 다른 사람들이 공동의 목적을 위해 모여 같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평범한 개인들이 각성하여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개인의 용기와 결단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캐릭터들을 통해 관객들은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한 각 인물들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일제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크고 작은 일을 도와 큰 일을 성사시켰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과거의 우리 선조들이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했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우리의 언어가 지켜진 것입니다.
역사적 울림
영화 말모이는 훌륭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줍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를 잘 반영한 세트장과 의상은 관객들을 1940년대로 데려다 놓습니다. 당시에 일본 정부는 조선인들의 이름을 모두 일본식 이름으로 바꿀 것을 강요했고 학교에서는 일본어만 가르쳤었습니다. 이런 억압적인 분위기를 영화를 통해 잘 느낄 수 있습니다. 영화의 사실성이 극대화되어 관객들은 등장인물들이 처한 상황이 얼마나 강압적이고 답답했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각 장면은 의도적으로 구성되어 그들의 모든 행동들이 일제에 저항하는 행동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판수와 정환이 상호작용하는 장면들은 대부분 웃깁니다. 이렇게 감동적인 장면과 유머러스한 장면들이 동시에 등장하여 관객들은 영화를 재미있게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를 지키기 위한 옛 조상들의 노력을 잘 몰랐던 사람들에게 이 영화는 학습이 되기도 합니다. 영화가 끝날 무렵 관객들은 교훈과 감동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
영화 말모이는 언어라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일제 강점기에 우리 조상들의 희생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한국인들이라면 이 영화를 보고 가슴이 뜨거워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느 한 사람의 주도 하에 언어가 만들어진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체계적이고 쉬운 우리 언어로 우리는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사유하고 소통해 왔습니다. 그런 언어를 빼앗기는 것은 우리의 정신을 빼앗기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조선어학회는 실제로 존재한 단체였고 그 단체가 우리 언어를 지키기 위해 실제로 사전을 편찬했었습니다. 사투리를 수집하고 표준어를 만들어내는 작업은 쉽지 않았지만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이 덕분에 고유의 얼을 가진 사투리도 지킬 수 있었습니다. 조선인들의 일제를 향한 조용한 투쟁의 역사를 엿보고 싶다면 이 영화를 관람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