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가은 감독의 영화 우리들은 2016년에 개봉한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가슴 아픈 성장 이야기로 어린 시절 세상의 전부인 것 같은 우정에 관해 다루고 있습니다. 성장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친구들과의 관계는 아이들에게는 세상 전부입니다.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모든 여성들이라면 공감할 수 있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를 추천하는 이유를 여러 가지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우정과 외로움
영화 우리들은 초등학교 생활을 힘들게 보내고 있는 수줍은 10살 소녀 선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야기는 여름방학이 시작하는 날 교실에 늦게까지 홀로 남아있던 선과 그날 전학 온 지아가 만나면서 시작합니다. 선은 당시 반에서 왕따를 당하고 있어서 매우 외로운 상태였고 지아는 그런 사실을 몰랐습니다. 둘은 비밀과 꿈을 공유하며 서로 단짝 친구가 됩니다. 개학을 하고 두 아이들의 관계는 틀어지게 됩니다. 선이 왕따라고 지아에게 다른 친구들이 알려준 것입니다. 지아는 자신도 왕따가 되고 싶지 않아서 선을 멀리하고, 선은 힘들게 얻은 친구를 잃지 않으려고 발버둥 칩니다. 선은 지아를 되찾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고 결국 지아의 비밀을 폭로합니다. 이 이야기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는 어린 시절에 겪었던 친구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솔직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했기 때문입니다. 감독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만드는 친구들과의 소소한 행복과 불안감, 배신감들을 이 영화에서 잘 녹여내었습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만나는 친구들이 세상 전부이며 그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을 때 크게 좌절합니다. 어른들이 보기에는 별 것 아닌 것 같고 그냥 웃어넘기면 되는 일들이 아이들에게는 세상이 무너지는 일 같은 것입니다. 왕따를 경험했거나 전학을 가서 적응하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이라면 이 영화의 이야기에 더욱 깊게 빠져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호연
영화 우리들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는 아역 배우들의 놀라운 연기를 꼽을 수 있습니다. 선 역의 최수인은 인물 내면의 갈등과 연약함을 놀라울 정도로 구현해 내었습니다. 감정이 잘 드러나는 눈빛과 수줍은 듯한 행동으로 선의 내적 갈등을 생생하게 표현해 내며 많은 관객들의 응원을 이끌어냈습니다. 지아 역의 김환희는 선이 왕따라는 사실을 몰랐을 때와 알았을 때의 차이를 생생하게 연기해 냅니다. 선이 왕따라는 사실을 몰랐을 때에는 따뜻하고 다정한 성격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사실을 듣고 학교에서 생존하기 위해 차갑고 이기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두 아역 배우의 연기가 진정성 있게 느껴지며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아이들이 이 정도로 연기를 잘하는 모습을 보기는 드뭅니다. 이들의 연기는 영화의 사실성을 한 층 더 끌어올립니다. 비평가와 관객 모두 이 작품에 찬사를 보냈는데 이는 이 두 아역배우의 공이 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적 성공
윤가은 감독은 섬세하고 친밀한 영상 스타일을 사용하여 영화 전반에 흐르는 분위기를 잘 나타내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조명과 클로즈업 샷을 사용하여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잘 포착해 냅니다. 이는 관객들이 영화에 더 잘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한국의 일반적인 주택가를 배경으로 한 배경은 한국 사람들에게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더 많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영화는 신중하게 조절된 속도감을 가져서 관객들이 영화에 푹 빠져들 수 있게 했습니다. 대사 사이에 흐르는 정적은 말이 있는 부분보다 더 큰 울림을 줍니다. 관객들은 인물들의 표정을 보고 그들의 감정을 더 섬세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미니멀하지만 감성을 자극하는 사운드 트랙은 영화 우리들을 더 몰입감 있게 볼 수 있도록 돕습니다.
결론
영화 우리들은 단순히 어린 시절을 다룬 영화가 아닙니다. 어른들의 이해타산적인 인간관계보다 더 잔인하고 본능적인 아이들의 인간관계를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어른들처럼 아이들도 자신들의 자리를 찾고 소속감을 얻으려고 엄청 노력합니다. 어쩌면 어른들보다 더 노력할지도 모릅니다. 어른들은 인간관계가 좋지 않아도 경제적인 성공을 얻거나 커리어적인 성공을 이루며 자신의 욕구를 채워가지만 아이들에게 인간관계란 세상 전부입니다. 아이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인간관계의 대부분도 학교에서 형성됩니다. 왕따를 당한다는 것은 아이들의 세상이 무너지는 것과 같은 것이고 그들의 자존감은 바닥을 치게 됩니다. 어린 시절의 이야기라 치부할 것이 아닌 것이 왕따가 트라우마로 남아 인생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영화를 보고 자신도 잊었던 어린 시절의 상처를 다시 들여다보며 자신을 치유하는 경험을 할 수도 있습니다. 자녀를 키우고 있다면 이 영화를 보고 자녀들의 인간관계를 다시 살뜰히 보살펴 줄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이야기는 너무나 작아서 어른들과 사회는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윤가은 감독은 이런 아이들의 작은 목소리를 스피커가 되어 크게 어른들과 사회에게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귀담아듣고 아이들의 세상에도 관심을 가져줘야겠습니다.